> [!date] published: 2022-01-27 [11723번: 집합](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23) ## 🌟 문제 비어있는 공집합 S가 주어졌을 때, 아래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- `add x`: S에 x를 추가한다. (1 ≤ x ≤ 20) S에 x가 이미 있는 경우에는 연산을 무시한다. - `remove x`: S에서 x를 제거한다. (1 ≤ x ≤ 20) S에 x가 없는 경우에는 연산을 무시한다. - `check x`: S에 x가 있으면 1을, 없으면 0을 출력한다. (1 ≤ x ≤ 20) - `toggle x`: S에 x가 있으면 x를 제거하고, 없으면 x를 추가한다. (1 ≤ x ≤ 20) - `all`: S를 \{1, 2, ..., 20\} 으로 바꾼다. - `empty`: S를 공집합으로 바꾼다. ## 🌟 입력 첫째 줄에 수행해야 하는 연산의 수 M (1 ≤ M ≤ 3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수행해야 하는 연산이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 ## 🌟 출력 `check` 연산이 주어질때마다, 결과를 출력한다. ## 🌟 풀이 언뜻 보기에는 그냥 벡터를 이용해서 구현하면 될 것 같지만... 연산의 수가 최대 3,000,000번이기 때문에 시간초과 무조건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다. 어떻게 풀어야 할 지 감이 안서는 중에 문제가 비트마스킹에 분류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고 그래서 비트마스킹을 활용해서 문제를 풀었다. 내가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이해 한 대로 간단히 설명해보면 비트마스킹이란 비트를 이용해서 집합을 다루는 것이다. 집합의 i번째 요소가 존재한다면 i번째 비트를 1로 표시하고, 존재하지 않는다면 0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집합의 삽입, 삭제, 조회를 비트 연산으로 구현할 수 있다. 나는 비트 연산에 좀 약해서 일단 bool 타입의 배열을 이용해서 먼저 문제를 풀어 준 다음에, 비트연산을 이용해서 한번 더 문제를 풀어줬다. ### ✨ 배열 활용하기 집합의 i번째 요소가 존재한다면 배열의 i번째 요소를 true로, 존재하지 않는다면 false로 표시해주는 방법으로 배열의 정보를 표시했다. 위의 방법으로 문제의 연산들을 구현해 주면 문제 자체는 간단하게 풀 수 있었는데, 입력과 출력의 횟수가 많으므로 ```c ios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0); cout.tie(0); ``` 위의 코드를 추가해 줘서 느린 cin, cout 속도를 보완해주었다. ### ✨ 비트마스킹 활용하기 처음 아무 연산도 하지 않았을 때의 집합의 상태는 아래와 같은 상태일 것이고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(10 이후 생략) 집합를 set 라 하면 `int set = 0` 이라 할 수 있다. #### add x 위의 집합에 1을 넣으려면 1번째 인덱스를 1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.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이 값과 set를 `OR` 연산 해 주면 set의 1번째 비트를 1로 만들어 줄 수 있는데 `OR` 연산을 해 줄 위 값은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이렇게 표현되는 **1을 왼쪽으로 1번 `shift`** 해서 만들 수 있다. 비슷하게 2를 추가해 주려면 set의 2번째 비트를 1로 만들어 줘야 하고 그러러면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0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이 값과 set를 `OR` 연산해줘야 하는데 이 값은 **1을 왼쪽으로 2번 `shift`** 해서 만들 수 있다. 이런 규칙에 따라서 `add x` 연산은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. ```c set = set | (1 << x); ``` #### remove x 1과 2가 들어있는 집합의 상태이다.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1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위 집합에서 1번째 비트를 0으로 바꾸어줘야 1을 집합에서 제거할 수 있고, | 1 | 1 | 1 | 1 | 1 | 1 | 1 | 1 | 0 | 1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위와 같이 1번째 비트를 제외한 모든 비트가 1인 값과 `AND` 연산을 해 주면 1번째 비트만 0으로 바꿀 수 있다. 위 내용을 일반화 해 보면 x번째 비트를 제거하기 위해 집합에 `AND` 연산해줄 그 값은 **1을 왼쪽으로 x번 `shift`한 값을 `NOT` 연산으로 비트를 반전**시켜서 만들 수 있다. 이 내용을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 ```c set = set & ~(1 << x); ``` #### check x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1이 들어있는 집합에서 1이 들어있는지 확인해주려면 집합과 1번째 비트를 제외한 모든 값이 0인 값을 `AND` 연산한 값을 확인해주면 된다.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이 값과 set를 `AND` 연산해주면 2(0이 아닌 값)가 나올 것이고, 이는 해당 집합에 1이 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 마찬가지로 이 집합에 2가 들어있는지 확인해주기 위해서는 아래의 값과 `AND` 연산해주면 된다.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0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`AND` 연산의 결과는 0이 될 것이고, 이는 해당 집합에 2가 들어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. 위의 규칙을 바탕으로 check x를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. ```c // 0이 아닌 경우 if (set & (1 << x)) cout << 1 << '\n'; // 0인 경우 else cout << 0 << '\n'; ``` #### toggle x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1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1과 2가 들어있는 집합에서 toggle 1을 하면 아래와 같은 상태가 될 것이고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0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다시 toggle 3을 하면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.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1 | 0 | 0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x번째 비트가 1인 경우에는 0으로 바꾸어주고, 0인 경우에는 1로 바꾸어주기 위해서는 x번째 비트를 제외한 비트가 0인 값과 `XOR` 연산을 해 주면 될 것이다. 집합의 x번째 비트가 1이라면 `1 XOR 1 = 0`이 되고, 0이라면 `0 XOR 1 = 1`이 되는 원리이다. 이 내용을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 ```c set = set ^ (1 << x); ``` #### all, empty all은 모든 비트를 1로 만들어 줘야 하므로 0을 NOT 연산으로 반전시켜 주면 된다. empty는 처음 set을 초기화 해 줬던 대로 값을 0으로 설정해 주면 된다. ```c // all set = ~0; // empty set = 0; ``` --- 비트 연산, 비트 마스크에 대해서 참고한 글 [C 언어 코딩 도장: 23.1 비트 AND, OR, XOR 연산자 사용하기](https://dojang.io/mod/page/view.php?id=173) [비트마스크(bit mask) : 네이버 블로그](https://m.blog.naver.com/jh20s/221150706030) ## 🌟 코드 ### ✨ 배열 ```c /* 2022-1-27 11723_집합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23 */ 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cstring> #include <string> using namespace std; bool info[21]; int n, x; string op; int main(){ ios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0); cout.tie(0); memset(info, 0, sizeof(info)); cin >> n; for(int t = 0; t < n; t++){ cin >> op; if (op == "add"){ cin >> x; info[x] = true; } else if (op == "remove"){ cin >> x; info[x] = false; } else if (op == "check"){ cin >> x; cout << info[x] << '\n'; } else if (op == "toggle"){ cin >> x; if (info[x]) info[x] = false; else info[x] = true; } else if (op == "all"){ for(int i = 1; i <= 20; i++) info[i] = true; } else { // op == "empty" for(int i = 1; i <= 20; i++) info[i] = false; } } return (0); } ``` ### ✨ 비트마스크 ```c /* 2022-1-27 11723_집합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23 */ 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string> using namespace std; int n, x; int set = 0; string op; int main(){ ios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0); cout.tie(0); cin >> n; for(int t = 0; t < n; t++){ cin >> op; if (op == "add"){ cin >> x; set = set | (1 << x); } else if (op == "remove"){ cin >> x; set = set & ~(1 << x); } else if (op == "check"){ cin >> x; if (set & (1 << x)) cout << 1 << '\n'; else cout << 0 << '\n'; } else if (op == "toggle"){ cin >> x; set = set ^ (1 << x); } else if (op == "all"){ set = ~0; } else { // op == "empty" set = 0; } } return (0); } ```